제주학 연구 통해 나눔과 연대 문화 형성
"대학은 연구와 교육이 함께하는 곳, 연구지원 확대해야"

제주대학교에서 가장 오래된(51년) 대표 연구소 탐라문화연구원은 1967년 ‘제주도문제연구소’로 출범한 후 2014년 ‘탐라문화연구원’으로 조직 개편됐다. 연구원은 제주 지역의 역사ㆍ문화ㆍ사회의 방대한 기본 자료를 수집ㆍ정리하면서, 제주학이라는 하나의 학문체계를 정립하고, 일본ㆍ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 연구기관과 교류 협력을 강화하며, 인문ㆍ사회과학 연구자 지원 및 학문 후속세대인 젊은 연구자들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됐다. 여기서 제주학이란 인문학을 넘어 사회ㆍ자연과학까지 아우르는 총체적인 지역학으로써 제주의 문화와 전통의 원재료를 발굴하고, 역사ㆍ철학ㆍ문학ㆍ문화ㆍ예술을 관통하는 제주의 정신을 찾아내는 것이며, 더 나아가 물질적인 삶을 넘는 나눔과 연대의 사회를 형성하는 학문이다.

 탐라문화연구원 산하 기관은 △제주 4.3 연구센터 △해양문화연구센터 △제주사회문화조사연구센터 △제주어연구센터(소속변경예정) △제주문화콘텐츠연구센터(신설예정) △신화ㆍ민속연구센터(신설예정) △동아시아연구센터(신설예정) 총 7개의 연구센터가 있다. 연구센터는 각자 정해진 주제를 가지고 심층 연구를 하고 있으며, 다양한 학술회를 주관한다.

 탐라문화연구원은 제주 유일 등재 학술지인 『탐라문화』와 함께 제주학 연구자들의 역작 『탐라문화학술총서』를 발간하면서 매년 4차례 이상 탐라문화의 보편성 확보와 학술 교류를 위한 국내ㆍ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제주 4.3사건과 세계 제노사이드(Genocide)현장을 주제로 열린 ‘제주 4.3 70주년 기념 국제학술 대회’와 함께 한국사회과학의 탈종속화와 정체성 확립을 위한 연구ㆍ교육 모델의 탐색 세미나인 ‘탐라문화연구원 사회조사연구센터 주최 공동학술세미나’, 제주 생활문화 원형 이해와 적용에 관한 제주ㆍ전주 지역 전문 연구자들 간 교류를 위한 ‘탐라문화연구원ㆍ전주대학교경영행정대학원의 공동 주최세미나’를 개최했다.

 더불어 연구원은 인문학 대중화를 위한 노력으로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다. 그 중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한 ‘인문도시지원사업’으로 ‘시민인문강좌 ’ ‘탐라아카데미 및 인문체험’ 등의 강좌를 운영하면서 제주 원도심 보존에 큰 역할을 했다.

또한, 탐라문화연구원은 제주대 학생들과 다양한 교류를 하고 있다. 연구원은‘특강ㆍ답사 프로그램’, ‘스토리텔링 및 문화원형 실습ㆍ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프린지페스티벌’, ‘문화콘텐츠 경연’에 학생 참여를 유도하면서 취업 경력을 쌓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리고 대학생들의 한ㆍ일 간 상호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아시아 평화인권캠프’를 7년째 지원하고  있다.

 이처럼 연구원은 『탐라문화』, 『탐라문화학술총서』, 다양한 학술회와 사업을 통해 제주사회가 가지고 있는 나눔과 연대를 확인하며, 이주민과 원주민의 소통을 확장하고 있다. 그리고 제주학 정립에 대한 장기적 투자를 유치하면서 역사문화자원을 축적하고 활용하고 있다.

 최근 연구원은  제주지역을 넘어 동아시아까지 연구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제주는 동아시아 문화 허브(Culture-Hub)로서 동아시아 지중해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연구 중요성이 드러나 동아시아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신설 예정인 동아시아연구센터는 그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연구센터다.

전영준 탐라문화연구원 원장은 “우리 연구원은 ‘탐라문화’라는 명칭을 계승함으로써 인문사회중심 지역학 연구소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제주도 연구의 선두주자로 그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며 제주에서 탐라문화연구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대학은 연구와 교육이 함께 가야 한다. 하지만 지금의 대학은 산학에 중점을 두면서 대학의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며 “우리 탐라문화연구원은 제주학의 선두주자라는 위상에 맞는 재정 지원이 이뤄지고 있지 않아 제주특별자치도의 재정지원을 받는 ‘제주연구원’과 경쟁에 접어들고 있다. 이는 곧 탐라문화연구원 위상에 심각한 타격일 수 있다. 올해 연구 경비 20% 삭감과 연구조교 채용을 줄이면서 제한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전영준 원장은 "따라서 대학본부의 안정적인 대응자금이나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대학 당국의 법정 연구소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제주학의 가치를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기를 희망한다”면서 연구소 경비 삭감을 비판하고, 연구소 지원 확대를 주장했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