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종 석 언론홍보학과 4

청년이 곧 미래의 주역이라는 말을 자주 들었다. 하지만 말과는 달리 내가 본 현실은 차갑기만 하다. ‘헬조선’이라는 말과 함께 일자리, 주거, 학비 등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미래는 암담해지고 있다. 청년들의 이런 상황을 보고 어떻게 밝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말할 수 있겠는가.

청년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짊어질 중요한 세대인 만큼, 다가올 선거의 청년 정책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은 당연한 처사라고 할 수 있다. 제주 역시 다가오는 지방선거에 맞춰 도지사에 출마하는 후보들은 ‘청년’의 표심을 공략하는 정책들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또한 제주도는 올해 401억 여원의 예산을 투입해 소득, 자립, 참여ㆍ활동, 문화ㆍ여가 등 분야별로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401억원 중 287억원이 행복주택, 임대주택 등 ‘자립’ 문제 해결을 위해 쓰이고, 취업 문제엔 94억, 문화ㆍ참여엔 20억원이 투입된다. 청년들이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를 반영한 프로그램의 세부내용 역시 잘 짜여져 있다.

하지만 청년들의 반응은 냉소적이다. 청년들은 “청년정책에 대해 잘 모른다”, “실질적으로 청년들에게 어떤 도움이 되는지 잘 모르겠다. 효율성과 전문성이 떨어지는 것 같다”라고 말한다.

적지 않은 예산을 투입했음에도 청년들의 고민은 여전히 일자리, 주거, 문화ㆍ예술에 쏠려 있다. 왜 그럴까? 양질의 프로그램을 시행 중이지만 청년들은 현행 정책이 있는지조차 알지 못한다. 도정의 홍보부족, 청년들의 관심부족으로 인해 좋은 취지로 시행되는 정책이 ‘유명무실’해진 것이다.

예산과 행정의 문제는 아니다. 다름 아닌 ‘소통’의 문제다. 청년들이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고, 도정에서 역시 청년들의 소리를 듣는데 귀 기울인다면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소통은 단순히 정책에 대해 관심만 갖는 것이 아니다. 그에 대한 피드백이 있어야 도에서도 청년에 대한 정책을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올바른 소통이 없으니 제주도는 제주도대로, 청년은 청년대로 평행선을 걷고 있는 것이다.

6ㆍ13 지방선거에 대한 청년들의 관심이 뜨겁다. 청년들이 원하는 것은 후보자가 일방적으로 내놓는 정책의 로드맵이 아닌, ‘청년의 고충에 귀 기울이는 사람’이다. 현행 정책과 청년의 고충을 적절하게 녹여낼 소통하는 리더십이 절실하다. 밝은 청년의 미래는 얼마나 소통을 잘하는냐에 달렸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