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육지부의 국공립 대학들이 총장 선출을 했다.
군산대학교의 경우 지난해 12월에 총장선출을 하면서 교직원과 학생들까지 참여시키며 총장 선출의 선거권을 확대 실시했다.
군산대 학보사의 모 기자는 “모두가 수긍하는 입장이었다"며 “예전의 총장 선거권에 대한 교직원들의 투쟁의 결과물로 선거권 확대에 이른 것"이라고 당시 분위기를 전했다.
이는 비단 군산대뿐만 아니라 상주대, 강릉대 등 국공립 대학에서도 선거권을 확대해 가고 있으며 창원대, 안동대는 대학 구성원간의 이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교직원들의 위상이 강화되면서 예전의 행정직만을 하고 있던 교직원들이 공공연히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우리대학은 지난 80년대 중후반부에 대통령의 총장 임명으로, 그 당시 선출 방식의 부조리함을 느낀 교수들의 투쟁에 의해 총장 선거를 교수 직선제로 진행 해 왔다. 시일이 많이 지났다. 현재는 적지 않은 전국국공립대가 총장 선거를 교직원과 학생들이 함께 하거나 추진중에 있어, 우리대학도 교수들만이 행했던 기존의 총장선출 방식의 변화에 대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내년 후반기면 우리대학도 총장 선거가 있다. 이로 인해 우리대학 공무원직장협의회(이하 공직협)도 총장 선거와 관련한 교직원, 학생, 교수의 참여를 논지로 하여 타대학의 사례들을 홍보하고 있다. 물론 어디까지나 홍보에 그치고 있지만 은연중에 총장 선거권 확대에 관심이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일부 교수들은 “아직 시기도 이른데 벌써부터 끄집어내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해 총장 선거권 논의가 시기 상조라고 말했다.
또 “교직원들의 실질적인 인사는 사무국장이 하고 교수 인사는 총장이 하고 있는 현 인사 시스템을 보더라도 교직원의 선거 참여는 동의할 수 없다”며 “공무원의 본질은 서비스”에 있다고 말했다.
이에 공직협 관계자는 “대학은 교수들에 의해서만 운영 되는게 아니라 학생과 교직원이 함께 만들어 나가는 것”이라며 “전체 구성원의 의견이 어우러져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출범한지 3년째 접어들고 있는 공직협은 타대학의 사례를 통해 총장의 선거권 문제를 심도있게 다룰 것으로 보인다. 공직협 관계자에 따르면 “내년의 가장 큰 이슈가 총장 선거가 될 것"이라며 총장 선출에 따른 선거권 확대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타대학의 선례를 통해 우리대학 교직원들도 총장 선거를 함께 할 수 방안을 모색하며 충분한 논리를 제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만일 교직원의 참여를 요구한다면 이는 학생들의 참여로까지 이어질 것이다. 대학의 한 주체로서 총장을 뽑을 수 있는 권한에 대한 명분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실제 학생들의 대표성을 띄는 총학생회는 “대학은 교수, 학생, 교직원이 3주체로서 대학의 총장을 뽑는데는 같이 투표할 수 있는 권한을 줘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문제는 이러한 사안을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관건이다. 교수들의 기득권 문제와 교직원들의 위상 문제가 중첩되면서 어떠한 절충점을 택하게 될지 관심사다.
전국적으로 국공립대학들의 총장 선출에 교직원까지 선거권을 넓히고 있는 마당에 그러한 추세를 간과하진 않을 것이며 교수들 또한 투쟁에 의해 얻게 된 부분을 쉽게 놓기가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학교의 발전을 위해서 이뤄지는 일이 이해 당사자간의 갈등 구조로 해석되고 논란이 돼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당장의 현안 문제가 아닌 만큼 다소 시간적 여유가 있다.
실제 움직임은 내년 초부터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이해관계가 서로 다른 대학 내 구성원들의 합의가 어떻게 도출될지 이목이 집중된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