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이후 교수들이 이뤄낸 교수직선제는 교수들의 독점적인 의사결정이라는 측면에서 더 이상 대학 구성원들의 공감대를 이끌지 못하고 있다.

  교수직선제로 대학 구성원인 교수, 직원, 학생을 대표해 대학을 운영하는 총장을 선출하는 현실에 과거의 구태라 여겨지는 시대의 흐름이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인식을 토대로 각 대학의 구성원들은 민주주의라는 본 의미를 다시금 되새기고 새롭게 재정립하고자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부산대와 교원대, 전남대, 여수대, 강원대, 부경대 등은 총장선거에 직원 참여가 이뤄졌고 경상대, 해양대 등은 직원과 학생 참여가 이뤄지고 있다. 이처럼 전국의 국립대에서는 총장선거에 직원과 학생의 참여가 하나의 사회적 흐름으로 나타나고 있다.

  제주대 역시 총장선거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학 구성원들의 총장선거권 확보에 대한 관심과 열기가 고조되고 있다. 현재 제주대 총장선출 방식도 교수직선인 전임이상 교원들의 직접 투표로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총장선거에 직원들과 학생들의 참여가 이뤄질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직원들은 지난달 27일 총장선거에 대학 구성원들의 참여를 호소하며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 공동위원장 강철승 공직협 회장, 강택경 대학노조 제주대지부장)를 출범시켰다. 공대위는 “교수들만의 독점적인 총장선출 방식은 시대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구태며, 비민주적 절차”라고 비판하며 “총장은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민주적 절차에 의해 선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교수들과 직원들의 합의가 쉽게 이뤄지기란 힘들 것이란 전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직원과 학생들이 대학 운영에 참여해야 한다는 요구가 교수들의 독점적 대학지배구조로 인해 수렴되지 못할 가망성이 높기 때문이다.

  만약 직원과 학생들이 참여해야 한다는 논리가 교수들에게 수용되지 못한다면 대학은 심각한 후유증에 빠질 수 있다. 대학 내 구성원들의 갈등이 심각하게 격화돼 총장선거권 확보를 위한 투쟁이 장기화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제 대학에서는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 자기들의 입장에서 이익만을 내세울 것이 아니라 대학의 자치와 민주주의 이룩이라는 측면에서 건설적인 논의가 되고 토의가 돼야 한다. 타 대학에서 총장선출에 대한 합리적인 모형을 찾고 결론을 도출, 새로운 변화를 이룩하고 있다는 점은 귀감이 될 만하다.

  제주대 총장선거가 과열양상으로 언론 비판을 받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총장선거에 직원과 학생들의 참여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