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총장 임명이 늦어지면서 대학이 총장선거 후유증을 겪고 있다. 개학한지 2주가 지났지만, 정부가 총장임명 안을 국무회의에 상정하지 않자 대학 분위기가 어수선하기 때문이다.

  신임 총장의 업무 가운데는 대학학사 행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것들이 많다. 대학 행정을 꼼꼼히 확인하고 대학구성원들의 대학발전을 위한 의견을 일일이 듣고 결정해야 하는 사안이 산적해 있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아직까지 신임 총장 임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신임 총장 임명이 늦어지면서 학기 초부터 대학 학사행정에 차질이 불가피해졌고, 이같은 학내상활을 놓고 새로운 대학 내 갈등요인으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총장선거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공명정대하게, 모범적으로 치르겠다는게 대학 당국과 선관위의 의지였고 후보자의 다짐이었다. 이에 따라 대학 당국은 기회있을 때마다 어떤 형태의 탈법행위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점을 거듭 역설했다.

  선관위 또한 그 어느 때보다 단호하게 공명의 실천의지를 천명하는가 하면 각 후보자들 역시 선거규정의 솔선수범을 호언장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거 후 사이버 후보자 비방과 관련한 수사의뢰라는 결과는 매우 실망스러운 수준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총장선거에 따른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것은 긴급 현안이다. 어떤 경우에라도 총장선거와 관련한 사이버 비방 수사 논란으로 빚어진 소모적 분열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선 총장임용이 어떤 결론이 나오기 전이라도 대학내 관련 부처가 후유증을 최소화하면서 대학운용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후속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그렇다면 총장 임용 결정권을 갖고 있는 정부와 청와대에 묻지 않을 수 없다. 왜 신학기가 시작돼서도 우리가 뽑은 총장이 아직까지 임용이 되지 않는가. 아니면 지연되는 이유를 속시원히 밝혀야 한다.

  인사권은 청와대의 고유권한이라고 하지만 공직 인사에 절대적 ‘고유권한’ 이란 있을 수가 없다. 공직의 주인은 국민이자, 대학의 주인은 대학 구성원들이기 때문이다. 선거가 민주적으로 끝났다면 가능하면 존중해주는 게 당연하다고 본다. 대·내외적으로 대학 난제가 산적해 있는 데다 더욱이 신학기 초기다. 어느 때보다 대학구성원들이 힘을 한데 모으고 대학정책을 이끌어가도 부족한 형편이다. 정부와 청와대의 조속한 해결을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