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원재(언론홍보학과 1)

교육이란 무엇일까. 많은 이들이 교육은 명문 대학 진학과 좋은 직장에 취직케 해주는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내가 생각하는 교육의 의미는 다르다. 교육이란 훌륭한 지적 능력을 갖춘 엘리트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인간다운 인간들을 양성하는 것이다. 누군가 한국의 교육을 ‘입시 경쟁 교육’이라고 평했다. 입시는 학생들에게 대학을 가기 위한 지식만을 살찌우게 하고 정신을 메마르게 한다.
 
‘결핍’. 선진국에 속하는 우리나라에는 어울리지 않는 단어다. 하지만 대한민국 학생들에게 잘 어울리는 단어이기도 하다. 우리는 이미 많은 것이 결핍됐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여전히 결핍되기 위해 교육받고 있다. 무언가를 얻기 위해선 내가 가진 무언가를 포기해야 한다.
 
하지만 학생들에겐 포기라는 단어보단 박탈이란 단어가 더욱 잘 어울릴 것 같다. 교육체제에 이미 구속당한 우리는 구속된 자아를 풀어낼 의지마저 박탈당했다. 게다가 우리는 꿈을 꿀 시간이 없다. 초등시절 우리는 누구나 꿈을 갖고 있었지만 중ㆍ고등학교를 겪으면서 우리에겐 더 이상 꿈이란 말이 어울리지 않는다. 밤낮없이 교과서와 참고서를 암기하고 이해하지 않으면 대학에 떨어져 사회의 낙오자로 치부되기 때문이다.
 
자율성이 속박된 채로 수년간 기계처럼 공부해 온 학생들에게 대학만이 해방될 수 있는 길이라며 이끄는 획일화되고 강압적인 교육은 고쳐져야 한다. 학생들에게 앞만 보고 달려가라 가르치지 않고 주변을 둘러보며 내가 어떤 존재이며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 깨닫고 나의 길에 대해 고민할 기회를 주는 그런 교육이 필요하다.
 
우선 학생들에겐 상담시설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그런 시설은 있다하더라도 학생과의 심적 거리가 멀어 생각을 허심탄회하게 털어놓을 수가 없었다. 또 나의 적성과 흥미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정보를 얻고 체험해 볼 수 있는 체험시설 역시 필요하다.
 
학생들을 자라나는 꿈나무, 사회를 이끌어나갈 주역이라 칭하면서 회색빛 건물 안에 몰아넣고 너의 미래를 위해 지금 이 순간은 포기하라는 것은 잔인한 말이 아닐 수 없다. 청소년은 작은 어른이다. 우리에게도 책임져야 할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는 주어져야 한다.
 
‘부모는 멀리 보라 하고 학부모는 앞만 보라 합니다. 부모는 함께가라 하고 학부모는 앞서가라 합니다. 부모는 꿈을 꾸라 하고 학부모는 꿈을 꿀 시간을 주지 않습니다. 당신은 부모입니까, 학부모 입니까? 부모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길 참된 교육의 시작입니다’ 이 공익광고는 우리에게 질문을 던졌다. 그리고 대다수의 부모들이 학부모라고 답을 했을 것이다. 자식이 천대받으며 살아가길 바라는 부모는 아무도 없다. 그리고 자식의 행복을 방해하고 싶은 부모 또한 아무도 없다.
 지
금부터라도 학부모가 아닌 부모가 돼서 평등한 교육환경과 편협한 사고가 지배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간다면 소중한 아이들이 천대받지 않고 자신의 길을 찾아 당당하게 나아갈 수 있는 사회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