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경원 행정학과 교수/사회과학대학 학장

우리대학이 갖는 큰 장점을 꼽으라면 주저 없이 캠퍼스의 지형적 환경을 들 수 있다. 산과 바다를 함께 볼 수 있는 캠퍼스다. 그렇다면 대학은 친환경적 캠퍼스 관리를 하고 있는가. 우리대학 주변의 난개발 현상과 캠퍼스 내ㆍ외의 교통 문제는 이와는 거리가 멀다. 캠퍼스의 차량 증가와 주차 문제는 대학 구성원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나고 있다. 특히 출ㆍ퇴근 및 점심시간 그리고 행사 등이 몰리는 시간에 캠퍼스는 위험천만의 주행과 주정차로 저잣거리를 방불케 한다.

교통문제의 체감은 캠퍼스 내ㆍ외의 모든 통계에서 나타난다. 제주도 등록차량이 이미 40만대를 넘어섰다(2015년). 30만대에서 불과 2년 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미 제주시 간선도로의 정체와 이면도로의 주정차 문제는 도를 넘어서고 있다. 실로 짜증나는 제주가 돼 버렸다. 대학을 보면, 1000여명의 교직원, 12,000여 학생 그리고 증가 추세의 방문객 수는 캠퍼스의 하루 교통량을 추정해 보기에 충분하다.

무엇이 문제인가? 먼저, 주차 및 교통 관리의 (거의)부재를 들 수 있다. 대학은 과연 건물 위치와 규모 그리고 구성원의 이동 패턴과 연계된 교통 및 주차 플랜이 있는가이다. 캠퍼스 신축건물에 따른 교통량과 주차 수요의 발생 예측은 필수적이다. 단지 주차 스티커의 발매가 고작이라면, 이는 관리라 부르기 어렵다. 캠퍼스 map 어디를 보아도 주차장 표시와 각 주차장의 용량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주차 관리의 현 주소다.

둘째, 주정차에 대한 대학과 구성원의 인식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혹 주정차 공간 및 시설이 본인의 근무지 곁에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관념을 가지고 있다면 이는 잘못된 것이다. 차량은 이동 수단일 뿐이다. 그 수단이 교육환경을 훼손하고 있다면 이는 본말이 전도된 것이다. 주차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을 바꾸어야 할 이유다.

마지막으로, 운전자의 행태 또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개인적 편의에 따른 자의적 주정차 행태가 도처에서 목격된다. 캠퍼스내 손바닥만한 빈공간이 있다면 어김없이 주정차된 차량을 볼 수 있다. 보행자와 진행중인 수업은 아랑곳하지 않는다. 물론 이러한 주차 행태는 대학의 주차관리 부재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규제가 (거의)없으니 얌체 주정차가 거리낌 없이 만연하고 있는 것이다.

증가추세의 교통량을 대처하기 위해 대학은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먼저 캠퍼스 출입 및 주차 차량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정보)의 수집과 분석이 필요하다. 누가 언제 어디를 어떠한 목적으로 차량출입 하는지를 파악하는 일은 주차관리의 기초가 된다.

다음으로 주차관리는 왜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먼저 후자의 해답은 차량출입의 ‘규제’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규제의 근거로 첫째는 구성원의 안전이다. 둘째는, 교육의 중요한 덕목인 학습권과 사유할 수 있는 공간 환경의 조성을 들 수 있다. 차량이동의 증가와 무분별한 주정차는 구성원의 안전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간 우리사회가 겪은 갖가지 형태의 대형 사고들은 모두 이동수단과 관련된 것들이다. 그 때마다 안전 불감증을 얘기한다. 우리 캠퍼스도 예외가 아니다. 그밖에 대학은 학문적 공간이다. 사유는 학문적 상상력의 시작이다. 주차장에서 사유가 이루어진 예는 아직 들어보지 못했다.

규제의 방식과 관련해 크게 두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자가용 이용자에 차등적 비용을 부과함으로써 자가 운전의 메리트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는 캠퍼스 교통의 총량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주정차 문제 해결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방식은 개인 차량의 이동 방향과 흐름을 바꾸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학내 가장 혼잡한 지역에 차량통행을 규제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캠퍼스의 중심권역인 대학본부에서 경상대 또는 아라뮤즈홀로 이어지는 간선도로를 따라 차량 통행을 제한하는 것이다(물론 장애인 차량을 포함한 특수차량은 제외될 것이다). 이는 해당지역의 구성원들에게는 약간의 불편을 주게 될 것이다. 그러나 구성원의 안전과 쾌적한 교육환경의 확보라는 명분에 어느 정도의 개인적 불편함은 양보를 해야 할 것이다.

물론 무조건적인 규제를 강조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 대학에는 우회도로의 성격을 갖는 도로들이 있으며 주차시설 역시 감귤ㆍ화훼과학기술센터 앞의 대형주차장 등 가용할 수 있는 주차시설들이 상당수 있다. 굳이 차량들이 대학의 중심부와 구성원들의 유동이 가장 많은 곳을 위험스럽게 드나들지 않아도 주차 후에 그들의 목적지에 5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문제가 있으니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문제의 중심에 안전과 학습권의 침해가 있다. 대안의 큰 줄기는 규제에서 찾아야 한다. 규제의 방식과 구성원들의 동의를 이끌어 내는 일은 대학 당국의 몫이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