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가 충격적이다. 제주도가 다양한 청년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정작 10명중 8명은 관련 정책을 모른다는 내용이다. 그야말로 정책은 일방통행이고, 대학생들에게는 관심 밖인 동상이몽(同床異夢) 형국이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와 (사)제주지방자치학회가 지난 11월 25일 제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세미나실에서 ‘제10회 대학생 차세대 정책포럼’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제주대 행정학과 학생들이 도내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청년 일자리 정책 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 중 현재 제주도에서 시행 중인 청년 일자리 정책의 인지 여부에 대한 설문에서 ‘전혀 들어본 적 없다’(47.3%)와 ‘들어봤지만 알지 못한다’(31.8%) 등 모른다는 응답이 절대적이다. 10명중 8명꼴이다.

우선, 행정에서 다양한 청년정책을 펼치고는 있지만 정작 그 대상자에게 전달되는 못하고 있다는 홍보 부족 문제가 드러난다. 여기에 대학생의 무관심도 이러할 결과를 낼 수밖에 없는 구조에서 배제할 수는 없다.

청년들의 최대 관심사인 구직 활동 응답도 시원치 않았다. 절반 수준(44.0%)이 제주도 내에서 구직을 원했고, 그 이유는 본인ㆍ가족 거주(42.0%)나 비용을 고려해서(24.6%)라는 응답이었다. 반면 도내에 원하는 일자리가 있어서는 낮은 수준(11.0%)에 그치며 청년일자리에 대한 미스매치 반응은 뚜렷했다. 때문에 청년들이 제주사회에 대한 불만이 커지면서 타 지역으로 나가 일자리를 구하거나 지역에서 실직자로 남는 악순환의 구조 위에 놓이게 됐다.

이처럼 도내 대학생들이 지역의 일자리 상황과 전망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정적이다. 이들은 정책의 최우선순위로 ‘대학생 학업+기업 현장실습 지원사업’을 꼽았다. 학교와 행정간의 긴밀한 협조를 통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청년을 채용하는 기업에 인건비를 지급하는 ‘청년 취업지원 희망프로젝트’ 사업을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최근 청년 기준 연령은 만19~39세로 완화됐다. 이에 제주도는 ‘제주형 청년보장제’ 키워드를 앞세워 청년 생애주기를 진입기ㆍ구직기ㆍ직장기 등으로 세분화해 요구별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주변에는 취업과 창업에 대한 정보를 지원하는 행정기관이 많다. 제주도청,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제주더큰내일센터, 제주중장년기술창업센터 등의 누리집에서 만해도 정보가 넘쳐난다. 대학생 스스로는 청년정책을 모른다고 답하기 전에 자신들의 관심 부족을 인정해야 한다. 이에 겨울방학에는 직접 해당 기관들을 찾아보기를 권한다. 제주 청년정책의 수혜자 상당수는 타 지역 청년들임을 알 게 될 것이다.

행정은 또한 도내 대학생들이 이번 설문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노출된 ‘일자리’, ‘지원’, ‘확대’, ‘자격증’, ‘현장실습’, ‘실무경험’, ‘인턴십’ 등에 주목해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 적극적 홍보는 이보다 더 앞서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