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성환 언론홍보학과 3
전성환 언론홍보학과 3

TV 채널을 둘러보다 우연히 DMZ에 대한 프로그램을 본 적이 있다. “비가 오는 날에는 지뢰 사고가 날 수도 있습니다. 절대 흙이나 풀을 밟지 마세요.” 라는 멘트와 영상 안의 도로는 여느 농촌 풍경과 다르지 않지만 곳곳에 ‘지뢰’ 표지판이 스쳐 지나갔다. 그 때의 내 나이는 중학교 2학년, 한창 사춘기에 접어들 시기였다.

그 때의 나는 몰랐다. DMZ가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대학생이 된 지금의 나는 중학교 때의 나와 별반 차이나지 않았다. DMZ는 그저 단순히 “비무장지대”라는 것만 알고 있었을 뿐이었다. 그랬던 나는 제주지역 청년 통일 평화 프레젠테이션 공모전을 교수님을 통해 알게 됐다. ‘한반도 통일ㆍ평화’를 주제로 프레젠테이션을 제작하고 발표한 이 후에 DMZ에서 통일체험학습을 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마음 속에는 알 수 없는 설렘이 느껴졌다.

‘DMZ의 땅을 밟았다.’  DMZ는 휴전 이후 60년이 넘도록 군사적 충돌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민간인의 출입을 포함한 모든 출입을 제한하면서 전쟁 당시 파괴되었던 모든 생태자원들이 다시 자라났다.

지금은 세계 어떤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생태계가 살아 숨 쉬고 있는 유일한 지역으로 떠올랐으며, 그 생태학적 가치와 생물다양성의 가치는 세계로부터 점점 주목받고 있다.

DMZ는 과거에는 분단과 아픔의 상징이 되는 장소였지만, 오늘날에는 다시금 남과 북이 이어질 수 있는 희망이 시작되는 공간, 생명과 화합의 공간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남북한의 군사적 정점에서 세계평화공원을 만든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매설 되어 있는 많은 지뢰 등 군사시설물의 안전한 제거 방안도 확보 돼야 한다.

따라서 우리뿐만 아니라 북한도 함께 협력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함께 DMZ를 더 이상 대치의 장소가 아닌 평화의 장소로 변모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면, DMZ는 단순한 생태공원이 아닌 그 이상의 가치, 세계가 인정하는 평화의 상징인 “DMZ세계생태평화공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비무장지대 안에는 한국 주민이 사는 대성동 ‘자유의 마을’과 ‘평화의 마을’로 이름 붙여진 북한 측 마을이 있다. 이러한 마을들의 이름처럼, 민족의 아픈 상처로 남은 비무장지대가 새로운 도약을 위한 평화의 공간으로 후대의 남겨지고 기억될 수 있도록 모두가 한마음이 되기를 바란다.

‘DMZ는 미래 통일의 희망이다.’‘그곳에는 DMZ세계생태평화공원이 있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