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에 청년들이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12월 호남통계청과 제주특별자치도가 발표한 제주 청년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청년인구(만 19~39세)는 16만8726명으로 전체 인구(67만6759명)의 24.9%를 차지했다. 이는 전국 평균(26.9%)보다 2% 포인트 낮은 수치다. 도내 청년인구 비율은 2011년 28.2%에서 2021년 24.9%로 감소했다. 2050년 청년인구는 10만6378명까지 줄어 전체 인구 대비 비중이 15.2%까지 하락할 것으로 추산됐다.

청년들이 감소하는 주요 원인으로 출생률 하락과 더불어 도외 전출 증가가 꼽힌다.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양질의 일자리 마련이 청년 정책의 당면 현안으로 부상한 이유다.

지난해 11월 제주도의회와 제주지방자치학회가 공동 주최한 제10회 대학생 차세대 정책포럼에서 도내 대학생 취업 진로 및 일자리 개선 방향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도내 청년들은 ‘3년 내 구직 계획이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79.0%가 ‘있다’고 응답했다. 청년들에게 구직을 원하는 지역을 묻자 43.7%는 ‘도내’, 22.0%는 ‘도외 국내 타 지역’이라고 답했다. 

그 중 도외 지역을 선택한 청년들이 꼽은 이유는 ‘일자리 선택 폭이 넓어서’(36.5%), ‘교육, 문화, 주거 등 생활기반이 더 좋아서’(32.4%), ‘도내에 희망하는 급여조건이 맞는 일자리가 부족해서’(10.1%), ‘도내에 희망하는 직종 일자리가 없어서’(6.1%) 등이었다. 특히 응답자 65.6%가 청년 인구 유출과 구직 활동이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봤다.

제주시가 지난 3월 6~13일 운영한 오픈 채팅방 ‘청년 행복 소통e’에서 제기된 의견도 일자리ㆍ창업 19건, 결혼ㆍ출산ㆍ육아 9건, 주거 8건, 물가ㆍ저임금 4건 등으로 일 관련이 우세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지난 3월 15일 제주 청년보장제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2023~2027년 5년간 5522억원을 투입해 청년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는 내용이다. 사업비는 직전 계획(2018~2022년) 2904억원보다 2배 가까이 늘었고, 사업 수도 기존 94개에서 117개로 증가했다. 

지난 계획이 법 제도적 기반 강화에 집중했다면 이번 계획은 청년의 고민과 불편을 실질적으로 해결하고 생애주기에 맞게 시기별로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대학생들은 청년 주권회의ㆍ청년 자율예산 운영과 주거 안정대책 방향, 상장기업 유치 방안, RIS사업(지자체ㆍ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사업) 참여 보장을 묻는 등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청년보장제 기본계획을 비롯한 청년 정책들이 차질 없이 추진돼 가시적인 성과를 내길 기대한다. 일자리를 필두로 청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제공해야 한다. 제주를 떠나는 청년들의 발길을 돌려놓는 전환점이 마련돼야 한다. 청년이 없는 지역에 미래는 없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