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신청 시스템 개선 필요
우선순위제 등 대안 절실

학생들은 개강을 앞두고 ‘수강신청 전쟁’을 벌인다. 제주대학교는 선착순으로 과목을 신청하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전쟁’이라는 단어가 붙을 정도로 원하는 과목의 수강신청은 매우 어렵다.

수강정정 기간이 주어지기는 하지만, 수강정정 시간을 매번 맞추기에도 무리가 있다. 강지윤(행정학과 2)씨는 “아르바이트 때문에 수강정정 시간을 매번 맞추기가 힘들다. 시간을 맞춰 들어가더라도 1분 이내에 수강정정을 끝내야 하는 것이 너무 어렵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특히 전공 교과목의 수강신청이 어려운 학과 학생들이 불만을 제기한다. 전공 필수 교과목을 먼저 신청하다 보면 교양 과목은 인원이 모두 마감돼 수강신청을 하지 못하게 된다는 의견이 많았다. 

김수현(언론홍보학과 2)씨는 “전공필수 교과목을 이수해야 하는데, 전공필수 과목의 교수님이 추가 인원을 받아주지 않으셔서 수업을 듣기가 매우 어렵다”며 “주변에도 전공과목을 듣지 못하는 친구들이 많다. 분명히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졸업을 위해 전공과 교양을 모두 챙기는 것이 어렵다. 전공과 교양의 수강신청 시간을 다르게 하는 것이 모든 학생들에게 유익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필수 교과목 수강신청에 실패한 학생들은 교수님께 직접 수강인원증진을 요청하는 메일을 드리기도 한다. 교수님께 직접 메일을 드리는 문화가 확산되며 일명 ‘빌넣’이라는 단어까지 등장했다. 

오승은 행정학과 교수는 “교수로서도 강의를 듣고싶다는 학생들을 돌려보내는 것은 굉장히 안타까운 일”이라며 “그러나 강의실이 협소해 많은 학생을 받아줄 수가 없다. 특히 교수 한 명이 6~70명의 학생들을 데리고 전공 수업을 하는 것은 강의의 질을 생각했을 때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오 교수는 이어 “학교 측은 재정적인 측면과 일부 소수학과의 문제라는 이유로 큰 관심을 두지 않는다”며 “대형 강의실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던가 전임 교수가 원할 시에는 분반을 허용했으면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교육부는 ‘강의 공급 확대’를 방안으로 2021년부터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 기준에 ‘총 강좌수’와 ‘강의 규모의 적절성’ 지표를 추가했다. 그러나 대학기본역량진단은 강제성을 갖고 있지 않아 학교 측의 즉각적인 대응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숙명여자대학교는 수강신청 시스템에 ‘우선순위제’를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학생 간 학년ㆍ이수 학점ㆍ직전 학기 성적을 반영해 순위를 정하고, 수강 인원 등수에 최종 포함되면 해당 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고려대학교나 연세대학교 등 일부 대학은 수강신청 시스템의 문제를 인지하고 ‘마일리지 제도’를 도입하는 등 다른 여러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