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어느 때보다 이번 차기 총장선거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이 높았다. 변화와 혁신을 바라는 지역사회의 공감이라 풀이된다. 이번 총장선거는 100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과 내년 6월 지자체장 선거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교육감 선거도 있다. 이 상황에서, 차기 총장에 대한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대와 바람은 두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하나는 대학과 지역사회와의 파트너십, 상생 협력 관계 구축이며, 다른 하나는 과학적 리더십에 대한 열망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은 현재 한국이 겪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 등의 문제를 1990년대부터 부터 경험해오고 있다. 이 문제들을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지방정부와 대학 간 파트너십,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미국도 대학과 커뮤니티 간 협력이 활성화되어있다, 협력과정에서 지역사회와 대학이 대등한 파트너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커뮤니티지원활동센터’를 통한 대학과 지역사회 협력이 활발하다. 예를 들면 지식, 인적자원 활용을 위한 협력, 공간 시설을 활용하는 협력, 지역민 대상으로 하는 교육, 지역사회 이슈 공동연구 또는 프로젝트 수행,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봉사 활동, 경제적 자원 활용 협력 등이다. 이렇듯 지속 가능한 협력을 위해 대학과 지역사회 간 상생 관계 구축이 필수적이다.

한편 급변하는 상황에서 대학 총장이 어떠한 리더십을 발휘하느냐에 따라 대학의 변화와 혁신, 나아가 생존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어 그 어느 때보다 총장의 리더십이 중요하게 부각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과학불모지 제주에서는 과학기반 리더십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다.

미래 국가의 존망은 탄소 중립에 달려 있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정부는 ‘경제구조의 저탄소화’, ‘신유망 저탄소 산업 생태계 조성’, ‘탄소중립 사회로의 공정전환’ 등의 3대 정책 방향에 탄소 중립 제도적 기반 강화 더해 ‘3+1’ 2050 탄소 중립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이를 위한 10대 과제로 ‘에너지 전환 가속화’, ‘고탄소 산업구조 혁신’, ‘미래 모빌리티로 전환’, ‘도시·국토 저탄소화’, ‘신유망산업 육성’, ‘혁신 생태계 저변 구축’, ‘순환경제 활성화’, ‘취약산업·계층 보호’, ‘지역 중심의 탄소 중립 실현’, ‘탄소 중립 사회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 등이 제시됐다. 향후 제주가 도태되지 않고 살아남으려면 이 같은 정책 흐름을 자발적으로 맞춰 가야 한다. 

이를 위해 과학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지역거점대학이 앞장서야 한다. 지자체나 민간의 역량만으로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 있다. 갈수록 커지는 과학입국의 원대한 꿈을 실현하기 위해 ‘R&D 투자 100조원 시대’가 열리고 있다. 과학기술의 저력은 R&D 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부와 민간의 R&D 투자 100조원 시대가 열리면, 이 역시 지역거점대학이 선도해야 한다. 그러려면 논문 못지않게 R&D 수행실적을 인정해주는 대학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지역사회는 이를 고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