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환 제주대학교 제11대 총장이 3월 25일 취임했다. 먼저 김 총장에게 축하를 보낸다. 김 총장은 취임사를 통해 “학령인구 감소, 4차 산업혁명, 코로나 팬데믹 등 교육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첨단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며 “기초학문 육성과 4차 산업혁명 대응 융ㆍ복합 교육 확대를 위해 교육혁신본부를 교육혁신처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장은 총장 임용 후보자 선거 과정에서 제주대의 비전으로 ‘함께 만드는 미래, 새로움을 향한 도약’을 내걸고 △교양과 미래 역량을 갖춘 창의인재 양성 △지속 성장을 위한 연구생태계 조성 △구성원 모두 함께 누리는 행복공동체 △미래형 스마트 캠퍼스 조성 △투명행정과 열린 소통의 합리적 거버넌스 구축 △제주와 상생하는 지역거점대학 도약 등을 공약했다.

바야흐로 전국 대학이 존폐의 기로에 접어들었다. 올해부터 학령인구 감소가 현실화하면서 신입생을 충원하지 못하는 대학이 속출하고 있다. 더구나 지역 대학은 수도권 대비 각종 불균형과 상대적 차별 악재로 냉엄한 현실에 놓였다. 제주대가 위기를 타개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려면 혁신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이와 맞물려 대선 과정에서 제주대 등 전국 9곳 국가거점국립대학 총장들이 제안한 ‘4대 공약 정책’은 제주는 물론 전국 대학을 위해 새 정부 국정과제 반영을 통한 실현이 요구된다. 첫째 국립대학법 제정이다. 현재 거점국립대학 학생 1인당 교육비는 서울대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거점국립대를 연구 중심 대학으로 육성하기 위해 최소한 국립대학법인 평균 수준으로 예산을 늘려야 한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국립대학법이 통과돼야 한다.

둘째로 지역인재 채용의무제가 개선돼야 한다. 현행 혁신도시법은 공공기관 소재 지역의 학생 30% 선발을 의무화하고 있다. 여기에 비수도권 출신 20% 선발을 추가하도록 개정돼야 한다. 

셋째는 국립대학 무상등록금제 시행이다.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심화하면서 지역은 공동화로 내몰리고 있다. 지역대학 육성을 통한 지역 소멸 방지는 시대적 과제다. 국·공립 지역대학 학부생의 등록금 전액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는 방안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마지막 정책은 지역 R&D 재정 강화와 지역거점 연구 중심 대학 육성이다. 거점국립대학에 국가 출연 연구소를 신설하거나 분원을 설립해 지역 R&D 역량을 제고해야 한다.

제주대가 올해 개교 70주년을 맞았다. 사람으로 치면 고희(古稀)에 접어든 제주대는 고등교육 기관을 넘어 제주현대사의 중심을 관통해 왔다. 상아탑으로 인재 양성과 학문 연구를 통해 제주발전의 핵심 축을 담당해 왔다. 제주대가 없는 제주란 결코 상상할 수 없다. 김 총장도 “우리 대학이 걸어온 70년의 소중한 자산을 새로운 100년을 향한 대전환의 디딤돌로 삼겠다”며 “우리대학은 제주 지역사회를 떠받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제주 지역사회와 상생하고 가치를 공유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김 총장의 4년 임기 동안 제주대의 변화와 혁신은 제주의 미래와 직결될 것이다. 그래서 김총장의 어깨가 무겁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