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은 제주만의 역사일까? 아니면 대한민국의 역사일까?

  한 해가 지날 때 마다 제주에서는 4·3으로 사라져간 영혼을 달래는 진혼제 혹은 위령제 등의 행사가 진행된다. 그와 함께 제주 도민 및 유가족 등은 4·3 진상 규명과 희생자 명예 회복을 위해 노력을 기울인다.

  하지만 제주도민은 전국 대비 인구비율로 단 1%. 또 제주도라는 지리적 한계와 약한 도세로 인해 4·3 문제의 해결은 장시간이 걸리고 있는 듯 하다.

  만약, 4·3에 대한 인식 및 전국적 해결 의지가 있다면 4·3 문제 해결은 더욱 빨라질 것이다.

  이에 본사에서는 도외 대학생들은 제주 4·3을 알고 있는가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알아보기 위해 ‘ 제주 4·3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충남대학교, 한밭대학교 4개 대학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학년에 구분 없이 무작위 추출, 총 4백4명(설문조사시 각 문항에 대해 답 표시가 없거나 두 개 이상 표시된 것은 제외)에게 이뤄졌다.

  어느 지역에서나 민간인 학살은 있어왔다. 노근리 사건을 비롯해 광주 5·18 역시 그 범주에 속한다. 그렇다면 각 지역에 사는 대학생들은 각자의 지역 외에 민간인 학살에 대해 알고 있을까?

  이에 각 지역 대학생에게 “제주 4·3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물었다.

  그 결과, 4·3을 알고 있는 대학생은 9.9%로 매우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또 “제주 4·3과 육지부 민간인 학살과 비교해 어느 것이 더 알려져 있는가?”라는 질문에 7.25%만이 ‘제주 4·3이 더 알려져 있다’고 답했으며, 54.25%가 ‘육지부 다른 민간인 학살 사건들이 더 많이 알려져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렇다면 왜 제주 4·3은 다른 민간인 학살보다 알려지지 않고 있을까?

  이에 도외 지역 대학생들은 대부분 “4·3에 대한 홍보 미흡”을 주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게다가 정부의 은폐 노력, 언론 매체의 관심이 제주 4·3보다 다른 지역 민간인 학살에 쏠려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또 제주도라는 지리적 환경에 의한 한계를 원인으로 말하기도 했다.

  4·3은 아직 도외 대학생들에게는 낯설기만 한 듯 하다. 그렇다면 그들은 이 낯선 4·3을 어떻게 인식·규정하고 있을까?

  도외 대학생들 중 41.35%가 제주 4·3에 대해 ‘4·3 사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 외로 16.49%가 ‘4·3 항쟁’, 8.38%가 ‘4·3 사태’, 1.35%가 ‘4·3 폭동’으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인지해야 할 점은 무려 44.83%의 도외 대학생들이 4·3에 대해 모르겠다고 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그 만큼의 도외 대학생들이 4·3에 대해 인지하지 못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 그들이 인지를 못하는 만큼 제주 도민 외에 4·3 해결의 필요성을 느끼는 사람이 없음을 반증한다.

  하지만 “제주 4·3이 우리나라의 역사적 해결문제 중 얼마나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54.22%가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답해 앞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무색하게 만들기도 했다.

  이는 ‘4·3에 대해 인지는 못하지만 역사적 해결 사안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야 한다’는 등의 답변자의 개인적 의식이 표출된 것으로 보여진다.

  그와 함께 “4·3에 대한 성격 규정을 그렇게 했는가?”라는 질문에 “독재 정권 및 미 군정에 대해 자신의 권리를 찾으려 했기 때문”, “통일된 조국 건설을 위해 진행된 대의적 항거 였기 때문”, “무분별한 공권 남용에 대한 항쟁이다”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 됐다.

  현재 도외 대학생들은 대부분 대학 강의 혹은 언론을 통해 4·3을 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3을 어떠한 경로를 통해 알게 되었는가?”라는 질문에 ‘언론 매체를 통해’ 25.90%, ‘제주 연고자를 통해’ 1.59%, ‘책과 인터넷을 통해’ 23.87%, ‘4·3 홍보를 퉁해’ 3.71 알게 됐다고 답한 것을 통해 알 수있다. 또 44.91%는 대학 강의 혹은 기타 경로로 4·3을 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0년 4·3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 등은 ‘4·3 특별법’ 제정으로 걸음 속도를 재촉 할 수 있게됐다.

  하지만 도외 대학생 중 ‘4·3특별법’이 제정 되어 있다는 사실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도내 대학생조차 특별법의 존재를 잘 알고 있지 못한 경우가 태반인 상황에서 과연 도외 학생이라고 다를까하는 의구심이 든다.

  “4·3특별법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다수인 86.84% ‘특별법에 대해 알고 있지 않다’고 답해 도내 대학생과 다를 바 없는 모습을 나타냈다.

  “4·3 진상 규명을 위해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하는 일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을 도외 대학생들에게 던졌다.

  이 질문에 49.95%의 대학생들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그와 함께 최근 제주 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4·3 희생자 선정 기준이 어떻게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47.38%의 대학생이 ‘좌·우 이념 문제를 떠나 폭넓게 해야한다”고 말했다.

  4·3 문제는 우리만의 힘으로 해결하기 힘들다. 4·3을 조속하고 완전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힘과 더불어 도외 지역의 도움이 필요한 것이 현 실정이다.

  하지만 앞으로 각 지역 사회를 이끌고 나갈 대학생들이 4·3에 대해 대부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지금 상황이다.

  모든 일에서 서로 도움을 얻고자 할 때, 상대에게 사안을 인지시키고 설득을 시켜야만 도움을 얻을 수 있다.

  4·3은 우리 지역 사회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안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그렇지만 지리적 한계 및 약한 도세 등으로 인해 조속히 해결되고 있지 못하고 장시간이 걸리고 있다.

  앞으로 도외 지역을 대상으로 4·3을 홍보 및 인지시킬 수 있는 대안이 제시되지 않는 한 4·3 해결은 장기간이 걸릴 것이며, 4·3이 역사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중요 사안에서 사라지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