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남은 명이 상여를 메고 간다. 비를 머금은 산길로 몇 무리가 따른다. 고인은 두 발로 딛었던 땅, 조그마한 터에 묻혔다. 가시는 길마저 외로워, 아! 서럽고 서럽다.
 1949년 1월 나이 서른다섯이던 해에 ‘살려고 후다닥 내달린 밭담 안에서 누가 날렸는지 모를 날카로운 한발에 송두리째 날아가 버린 턱’. 당신은 진아영 할머니. 날아 간 턱을 무명천으로 감싸 지내 ‘무명천 할머니’라 불리는 당신. 55년 한많은 세월, 고단한 육신, 가까운 혈육에 업히지 못하고 마지막 길을 가신 할머니, 참 가련하고 가련타.
 지난 8일 제주 4·3사건때 북제주군 한경면 판포리에서 경찰이 발사한 총탄에 턱을 잃은 진아영 할머니가 영면했다. 진 할머니는 생전에 무명천으로 얼굴을 감싸 ‘死(죽음)·삶’의 기로에서 얻은 상처를 내보이지 않았다.
 그렇다. 역사가 빚은 비극을 고스란히 진 할머니가 이고 갔다.
 진 할머니의 잃어 버린 턱은 4·3의 비극이고 무명천은 4·3 희생자들과 후유장애인들의 눈물이었다. 이처럼 진 할머니는 4·3의 아픔을 상징적으로 대변해줬다. 그런 할머니가 마지막 길도 쓸쓸히 가셨다는 소식에 비통하고 안타까울 따름이다.
 진 할머니는 55년전의 일로 턱을 잃은 채 귀가 멀고, 말을 잊어버린 채 살아왔다. 따뜻한 밥, 목을 축일 물 한잔을 들이키려 할 때도 남몰래 숨어 억지로 넘겨야 했다. 진 할머니의 한 많은 삶을 노래한 한 시인은 ‘울음이 소리가 되고 소리가 울음이 되는/ 그녀, 끅끅 막힌 목젖의 음운 나는 알 수 없네/ 가슴뼈로 후둑이는 그녀의 울음 난 알 수 없네’라고 묘사했다.
 최근 정부는 공권력의 잔혹한 칼날에 관해 규명 작업을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은 특히 제주4·3사건과 관련해 머리를 조아렸다.
 정부는 그 값어치라며 4·3후유장애인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했다. 진 할머니도 55년 한많은 세월의 보상금으로 돈 8백여 만원을 지원받았다. 원하지도, 알지도 못한 사이 온몸을 괴롭힌 심장질환과 골다공증. 진통제 없이는 견딜 수 없는 고통, 이마저 삶이 돼 버린 진 할머니의 한 평생을 고인이 된 지금 가슴 아프게 떠올려 본다.
 돈으로도 보상받을 수 없는 할머니의 한은 이 시대가 풀어야 할 과제로 남겨졌다.
 4·3진상규명·명예회복·후유장애자의 보상 등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4·3사건의 진상을 밝히기 위해, 그들을 위로하기 위해 애써왔다. 그러나 아직도 역사를 왜곡하려 하고 진실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 이들도 있다는 게 슬프다. 여전히 4·3에 관해 빨간색 덧칠을 하려 드는 자들로 인해 피해자들은 오히려 죄인처럼 숨어지내고 있다.
 영면한 진 할머니의 소식에 그동안의 무지함이 부끄럽다. 그러기에 새삼 오랜 세월 가슴에 묻어 둔 상처를 쉽게 꺼내지 못하는 한많은 사람들. 그 사람들의 한을 이제는 우리가 대신 풀어 줘야 한다는 다짐이 선다. 비극의 역사를 한으로 이겨낸 사람들도 우리 주변에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진 할머니의 삶과 죽음은 아직도 그늘진 곳에 놓여있는 4·3휴유장애인의 처지를 비롯해 4·3에 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고 있다. 이들의 눈물을 딱아주기 위해, 그들에게 무엇으로 보상해 줄 것이며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진아영 할머니의 명복을 진심으로 빕니다. 송지은 지역사회부장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