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언론의 위기를 공감하고 보다 나은 지역언론의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장이 마련됐다.‘위기의 지역언론,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토론회가 전국언론노동조합 주최로 지난달 18일 탐라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열렸다.
처음 발제를 맡은 고영철(언론홍보학과) 교수는 ‘지역신문의 현황과 위기대처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신문산업의 현실에 대해 “좁은 지역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신문과 새로운 매체간에 경쟁을 하게 되면서 경영악화, 독자 수 감소, 열독시간의 감소, 광고시장의 붕괴, 저널리즘의 기능이 실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함께 “한국은 조ㆍ중ㆍ동의 나라”라며, 중앙언론이 점유율을 과다하게 선점하고 있어 지역언론의 구독률이 하락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고영철 교수는 “최근 들어 제주지역의 각 신문들이 나름대로 지면개혁을 시도하고 있지만, 독자들은 여전히 ‘페이지와 기사 가지 수만 늘어났지 읽을 만한 것이 별로 없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지역언론 관계자는 ‘알아도 그만 몰라도 그만’, ‘그 신문이 그 신문’이라는 독자들의 비판을 깊이 새겨들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편 지역신문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제안으로 우선 지면혁신을 들었다. 지방자치시대와 관련한 지방중심 기사발굴과 세계화를 통한 제주만의 마인드를 제고할 수 있는 ‘국제면 신설’,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문화면 특화’, ‘사람들 동정난 특화’, ‘저널리즘 기능의 강화’를 강조했다. 그리고 지역사회의 지원과 협조를 통한 ‘1가구 1개 지역신문보기 운동’, ‘신문활용교육의 확산’을 주장했다.
끝맺으며 그는 “지방신문이 위기에서 벗어나는 길은 신문사의 끊임없는 혁신적인 노력과 도민들의 지속적인 관심에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바람직한 지역언론발전지원법안 모색”을 주제로 김순기(경인일보) 기자의 발표가 이뤄졌다.
김순기 기자는 지역신문의 위기를 지역신문 난립과 열악한 재정구조, 소유구조와 운영형태의 왜곡, 중앙언론의 지역신문시장의 침탈에서 꼽았다. 특히 신문사의 소유구조에 대해 “지방지는 하나같이 건설, 운수 등 지방토착기업을 모기업으로 한다”며 “토착세력에게 점령당한 일간지는 지역 주민을 주로 상대하는 것이 아니라 권력자나 돈 있는 사람을 주로 상대하는 제한된 통로로서 위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지방언론은 언론기관으로서의 위치를 재정립하고 지방분권과 지방균형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언론 활성화를 위한 지역언론발전지원법안에 대해서는 한나라당과 통합신당의 법안을 비교했다. 김순기 기자는 두 법안에 대해 “통합신당의 법안이 한나라당 법안보다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현실적인 측면이 많이 반영됐다”며 “통합신당의 안을 바탕으로 현실적 문제를 타파해 나갈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지역언론발전지원법안에 대해서 “법안을 통해 지원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지역적으로 환산하면 큰 액수는 되지 않을 것이지만 법안이 통과되면 지역언론은 검증과정을 거쳐 선정이 되므로 독자는 이를 바탕으로 신문을 평가하게 될 것이다”라고 설명하며 끝을 맺었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