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선거권이 있는 국민이라면 뒤늦게까지 변수가 많았던 이번 대선까지의 과정에 소정의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투표를 한다는 것은 일상의 작은 선택과 비슷한 성격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특별히 신중을 기해 결정해야 하는 특별한 선택권이다. 때문에 후보들의 공약은 물론 사사로운 언행과 환경도 ‘신중한' 결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고질적인 여러 가지 선거문제는 때마다 위의 중대한 요인과는 별개로, 흐린 결과를 낳는다거나 민심조작까지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지역들의 갈등과 대립은 정치적인 결과물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이는 비민주적(비타협적, 더 나아가 비화합적)인 것이 확실하나 단기적인 해결이 어려운 문제이다.
사회에는 어떤 형태로든 지역집단이 있기 마련이다. 동질의식을 가진 의미에서는 이것이 집단의 발전과 통합에 훌륭하게 기여하지만 타 지역에 대해 배타적인 성향이 짙어지면 오히려 대립과 갈등이 존재하게 된다.
타국의 경우 여러 민족이 모인 것이 대부분이라 민족·인종문제 등이 지역갈등에 포함되지만 표면화된 대립은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 나라의 경우 지역갈등문제는 역사적으로 깊고 다양하게 형성되었으며 단일민족이라는 차원에서부터 심각성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오래 전부터 베어있던 통치체제와 유교문화 등이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영·호남의 두 지역은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지역갈등 지방인데 이는 1960년대부터의 경제개발과정에서 시작된 불균형한 발전이 지역감정으로 점점 악화되어 지금도 지역문제의 쟁점이 되고 있다.
이제부터는 역사적으로 지속되어 왔던 지역갈등을 조금씩 잊기 시작해야 한다. 문제의 역사성을 지나치게 부각시키는 것은 오히려 지역갈등을 계속 진행시키는 역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지양해야 한다. 또 유능한 정치인 혹은 엘리트를 형평성 원칙에 어긋나지 않는 인사정책으로 신중하게 발굴할 필요가 있다. 지난 군사정권 시대의 불균형한 성장전략으로 빚어진 특정지역의 경제력 편중현상이 더 이상 나타나서는 안 될 것이며 균형있는 발전과 평등한 지역대우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지역갈등문제는 분야를 따질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지식인과 정치인, 국민이 다같이 지능적으로 해결해야 함이 요구된다. 선거기간, 정치인들이 지역감정을 부추겨 권력투쟁장으로 악이용하는 것을 스스로가 먼저 비판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 대표자로서의 모습이다.
이미 오래 전부터 세계화 시대를 맞이한 우리는 이제 지방화 시대를 받아들여 어색해 보이기만 하는 지역주민간에 화해가 필요하며, 지역간의 평등하고 조화로운 정책추진과 제도 정착을 통해 하루빨리, 신중하게 한층 안정된 나라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인간이 자신의 출생지를 선택해 태어날 수 없는 태생적인 한계를 정치적인 볼모로 삼는다는 것은 국력낭비와 사회분열을 초래하는, 우려할 만한 일임은 확실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