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명지(편집국장)
올해로 4ㆍ3이 65주년을 맞았다. 제주사회 각계각층에서 4ㆍ3을 추념하기 위한 행사를 열고 있어 4ㆍ3의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우리대학도 총학생회를 비롯해 중앙자치기구와 단과대학 학생기구 간부들이 지난달 29일 4ㆍ3 65주년을 앞두고 유적지 순례 행사를 진행했다. 전ㆍ현직 학생자치기구는 ‘제주지역 사회의 지울 수 없는 상처이자 풀어야 할 지역사회문제’라는 문제인식을 갖고 이러한 활동을 지속해나가고 있다.
 
학생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학인들이 4ㆍ3에 대해 무관심하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는 “대학사회가 갈수록 4ㆍ3같은 지역사회문제에 무관심해지고 있어 대학과 지역사회가 분리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고 말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일부 대학인들도 동조하고 있다. 지난달 27일자 제주대신문 독자기고에서 한 학생들은 “4ㆍ3에 대한 학생들의 무관심은 심각한 상황”이라고 밝혔었다.
 
최근 들어 4ㆍ3에 대한 학생들의 무관심에 대해 혹자들은 “개인주의, 취업문제 등으로 우리나라 대학사회가 탈(脫)정치화되고 있어 어쩔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학생들은 지역사회에 끊임없이 관심을 갖고 참여할 의무와 권리가 있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공부를 하는 단순한 피교육자의 지위뿐만 아니라 자기를 둘러싼 성인으로서 스스로 결정하고 활동해야할 책임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총학생회를 비롯한 학생자치기구가 4ㆍ3 추념행사를 좀 더 활동적으로 해주길 기대해본다. 사회과학대학의 한 학생은 “매년마다 학생회가 4ㆍ3 유적지 탐방 등을 기획하고 있지만 행사가 진부해 실질적으로 학생들을 끌어들이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학생회가 학생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신선한 행사를 기획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4ㆍ3을 기억하는 행사를 열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사실 1952년에 문을 연 우리대학은 정부에 의한 4·3 탄압기와 함께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60년에 학생들이 4ㆍ3 진상규명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당시 4ㆍ3유가족들의 집회 등의 활동과 함께했다고 한다. 또 1991년에는 학생회가 ‘4ㆍ3자주항쟁 계승과 노태우정권 퇴진을 위한 청년아라 궐기대회’ 등을 열었다. 이 때 학생들이 시위에 나서 많은 학생들이 연행되기도 했다. 당시 대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는 제주사회 진상규명과 유가족의 명예회복 운동에 많은 활력소가 됐다는 평가이다.
 
2003년에 노무현 전 대통령이 4ㆍ3에 대해 공식사과를 한마당에, 예전처럼 4ㆍ3 관련 시위를 하라는 것이냐고 반문할지도 모르겠다. 정부의 공식사과는 있었지만 4ㆍ3의 명예회복을 위해 제주지역사회가 해결해 나가야 할 일은 많다.
 
그 중 하나가 우리나라 사회에 남아있는 4ㆍ3에 대한 그릇된 인식 바로잡기이다. 정부의 진상조사보고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3만 명 이상의 국민들을 살해한 명백한 국가살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사회엔 아직도 4ㆍ3에 대한 편향된 인식이 남아있다. 일부에서는 아직도 4ㆍ3을 두고 ‘레닌 기념일’, ‘좌익용공들의 폭동’ 등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현재 중ㆍ고등학교 교과서에 4ㆍ3에 대한 제대로 된 설명이 부족하다는 평가도 많다.
 
이제 제주대 학생사회도 이러한 인식을 바로잡고 제대로 된 역사를 알려나가는 데 한몫을 해야 한다. 캠퍼스 내에서 4ㆍ3주간 행사 등을 대대적으로 열어 대학생들은 물론 중ㆍ고등학생, 시민들과 함께 하는 것을 모색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본다.
 
우리 대학은 제주의 유일한 거점국립대학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제주대 학생자치기구의 임무는 학생들의 복지증진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제주대 학생사회는 지역사회를 위해 봉사할 의무가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1987년 6월 민주항쟁 등 대한민국 사회를 뒤흔든 변혁의 목소리는 사실 대학에서 나왔다. 더 나아가 4ㆍ3뿐만 아니라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논란, 제주도 환경문제 등에 제주의 지성인 집단으로서 더욱 더 많은 목소리를 내야한다고 본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